1. 작성일
- 2022-07-03
2. 회고
jpa 공부를 위해 패스트 캠퍼스의 초격차 패키지를 들어보았는데
확실히 인프런의 김영한 강사님 강의가 요점도 명확하고 정리도 잘되어있다고 느꼈다.
스프링의 데이터 init 기법으로 data.sql 사용법과 @PostConstruct를 사용한 데이터 삽입을 알게되었다
data.sql은 insert쿼리 자체를 실행시켜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인데 개발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재실행하는 경우가 많아서 번거로웠다. 하지만 배포시에 사용하는 것은 나쁘지 않을지도?
@PostConstruct를 사용한 방법은 코드 내에서 new를 이용한 객체 생성하여 db에 저장하는 코드를 미리 짜놓는 것인데
jpa:
hibernate:
ddl-auto: create
update 세팅일 경우 데이터가 계속해서 들어가므로 create 세팅으로 사용해야 한다.
3. 주말의 포스팅
- 2022.07.02 - [프로그래밍/개발지식] - 코드리뷰를 왜 해야하는가
- 2022.07.02 - [프로그래밍/SpringBoot] - list 값 줄별로 출력하기 forEach(System.out::Println)
- 2022.07.02 - [프로그래밍/SpringBoot] - data.sql 사용법 - 스프링부트 실행시 init으로 쿼리 실행하기
- 2022.07.03 - [프로그래밍/SpringBoot & JPA Use2] - API 개발 기본 (등록, 수정, 조회)
- 2022.07.03 - [프로그래밍/SpringBoot & JPA Use2] - 지연 로딩과 성능 최적화
'일기 > W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L (스파르타 클라우드 엔지니어 캠프 13주차 Day+90 & 91) (0) | 2022.07.17 |
---|---|
WIL (스파르타 클라우드 엔지니어 캠프 12주차 Day+83 & 84) (0) | 2022.07.11 |
WIL (스파르타 클라우드 엔지니어 캠프 10주차 Day+69 & 70) (1) | 2022.06.26 |
WIL (스파르타 클라우드 엔지니어 캠프 9주차 Day+62 & 63) (1) | 2022.06.19 |
WIL (스파르타 클라우드 엔지니어 캠프 8주차 Day+55 & 56) (3) | 2022.06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