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RDS 생성
- 문서 3-5 참조 : https://www.notion.so/AWS-3-d7276f61cbf7492ea47b3fdc52f2e64e#90e20cee846446f2a5380d1c6f24e306
프리티어로 db. t2.micro사이즈의 RDS를 만들면 50시간(약 한달) 동안 켜 놓을 수 있는데, 750시간을 넘으면 시간당 $0.026이 과금됩니다.
프리티어로 생성한 RDS의 실행시간이 750시간이 다 채워졌으면, 인스턴스를 중지시켜주시면 됩니다.
2. RDS 사용
- 파이참 디비 연동 (파이참 우측 Database -> + 버튼 -> Data Source -> 사용할 DB 선택)
Host에 RDS의 엔드포인트 입력 -> 연결 완료
- 스키마 생성
# 인코딩 설정 - Preview에 붙여 넣기
create database sparta default character set utf8 collate utf8_general_ci;
- 테이블 생성
'프로그래밍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ElastiCache란? (생성) (0) | 2022.04.27 |
---|---|
RDS + Python 연동하는법 (0) | 2022.04.27 |
ElasticBeanstalk (EB) (0) | 2022.04.26 |
EC2 + ELB + Auto Scaling (EC2 자동으로 추가하기) (0) | 2022.04.26 |
EC2 + ELB (0) | 2022.04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