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작성일

  • 2022.05.10

 

2. 회고

  • 소셜 로그인/로그아웃(카카오) 구현 완료. api를 호출하는 부분은 어제, 오늘은 해당 호출 정보를 사용하는 로직 코드 작성함.
  • aws에서 mongodb를 어떻게 사용할지 고민하던중에 새로운 방법을 찾았다. 원래 시도해보려던 방법은 VPC에 mongoDB ATLAS를 이용하는 방법이었는데 다른 방법을 찾게 되었다.
  • AWS의 CodeDeploy를 이용한 자동 배포 구축방법이다. 해당 방법을 사용하면 ec2의 설정을 커스텀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. 
  • CodeDeploy를 이용한 구현을 먼저 시도해 볼 계획이다.
  • 오늘 프로젝트는 팀원들의 코드 구현에 도움을 주고 에러를 잡아주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.
  • 나에게 남은 코드 구현 부분 : 마이페이지(사용자/가이드)
  • 해당 부분은 샘플 데이터를 활용해 구현할 수도 있지만 팀원들의 코드가 완성된 후에 작업해도 되기에 자동배포 설정을 먼저 할 계획이다.
  • 코드의 오류 찾기/작성 등을 혼자 하고 있으면 오래 걸리기도 하고 어떤 방향으로 로직을 수정해나가야 할지 정하는데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팀원들의 오류를 함께 봐주며 하나하나 테스트를 거쳐 오류를 잡는 작업은 혼자 코드를 짤 때보다 재미도 있고 보람도 느낄 수 있어 좋다

 

3. 관련 포스팅

 

4. 참고 문서

** EC2, Lambda, ECS에서 CodeDeploy를 사용하는 경우: AWS CodeDeploy를 통해 Amazon EC2, AWS Lambda 또는 Amazon ECS에 코드를 배포하는 데는 추가 비용이 부과되지 않습니다.

 

 

화이팅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