버킷만들기 - 버킷 클릭 - 업로드 클릭 - 업로드할 파일 선택 후 업로드 - 권한 설정

권한 설정은 2편에!

2022.04.25 - [프로그래밍/AWS] - S3 사용법2 (파일 엑세스 권한 설정)

1. S3란?

  • AWS에서 제공하는 파일저장소
  • 버킷 이란?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소 단위

 

2. 버킷 만들기

  • 일반구성
    • 버킷이름 : 이름은 무수히 많은 버킷중에 고유한 이름이어야 합니다.
    • AWS 리전 : 데이터 센터가 있는 나라
    • 기존 버킷 복사 : 기존 버킷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때

  • 엑세스 차단 설정
    • 액세스 차단 설정은 버킷에 저장한 파일의 권한을 설정하는 기능입니다.
    • 퍼블릭 엑세스 : 버킷이 생성되면 고유한 URL이 부여됩니다. URL을 통해서 저장된 파일에 접근 할수 있게 하는 기능입니다.
    • ACL : 액세스 제어 목록으로 버킷과 객체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합니다.

* 모든 퍼블릭 액세스 차단 : 외부 접속이 불가능 합니다. 

 

  • 버킷버전관리
    • 버전관리 :  git으로 관리하는 것처럼 버킷내의 파일들을 버전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

  • 태그
    • 해당 버킷을 태깅해놓고 비용측정, 많은 버킷중에 태그로 검색 등을 할때 쓰는 태깅 기능
    • 서비스를 어떻게 운영하냐에 따라 태그 사용법이 다름  ex) 버킷이 많아지면 그룹에 따라 나눠서 사용

  • 기본 암호화
    • 파일들을 암호화해서 좀더 보안적으로 신경써서 관리하게 해주는 기능

 

 

 

  • 파일 업로드
    • 버킷 접속

  • 파일업로드

 

2편 권한설정하기

2022.04.25 - [프로그래밍/AWS] - S3 사용법2 (파일 엑세스 권한 설정)

+ Recent posts